PER 뜻
PER계산
PER = 시가총액/당기순이익 or 주가/주당순이익
PER(Price-to-Earnings Ratio)이란 주가와 주당순이익을 비교하는 시장가치비율을 말합니다.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 주가가 주당 순이익의 배율이 얼마인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그렇기에 PER가 낮을 경우 해당 회사가 거둔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고 그에 따라 기업의 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PER가 높으면 거둔 이익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한편 PER은 주가/주당순이익이지만다른 방법으로 시가총액/당기순이익으로 나눠서 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보통주, 우선주 등 종류주식에 대한 부분을 무시할 수 있기 때문(분자의 보통주 우선주 시가총액 합함)입니다. 특히 미국처럼 우선주가 없고 대신 A주, B주 같은 차등의결권 주식이 많은 나라에서는 주식 수가 들어가는 주가/주당순이익 지표로 계산할 경우 문제가 심각해집니다. A주에 들어가는 순이익과 B주에 들어가는 순이익 비율을 결정하는 것은 회사 측의 자의적인 결정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차등의결권 주식을 가진 회사는 PER을 전체 시가총액/당기순이익으로 구합니다
PER 의미
PER의미
- 낮으면 저평가, 높으면 고평가
- 프리미엄이 붙어있는지 평가하는데 활용
- 기준에 따라 활용도 떨어져서 한계점
기업의 적정 주가를 PER을 이용해 판단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동종업계 내에서 PER이 낮으면 저평가, 높으면 고평가로 평가하며 시장평균에 비해 어느 정도 프리미엄이 붙어있는지를 평가하는 데에 이용하기도 합니다. 기업의 성장률, 영업위험, 재무위험의 차이, 회계방법의 차이, 기업의 이익발생능력에 따라서 동종기업이라 하더라도 PER의 차이가 나며 재각각입니다. 이러할 경우 주가가 같다고 하더라도 주당이익이 높은 쪽이 훨씬 더 신뢰받는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가자료와 주당이익자료로 어느시기의 것을 삼느냐에 따라, 어느 때의 회계이익을 기준으로 할 것인가와 회계처리방법의 선택, 발행주식수의 계산 시 전환증권에 의해 증가한 주식여부, 마이너스 이익, 경기순환에 취약한 기업 등과 같은 한계점이 있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간단한 회계정보를 통해서 투자결정에 쉽게 이용가능하다는 점 덕분에 한계점에 대해서만 알고 있다면 유용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도 존재합니다.
대가들의 조언
벤저민 그레이엄은 기업의 적정 PER을 구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은 PER이 40 이상에 거래되다가 갑자기 투자자들이 변심하면 PER가 1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했기 때문입니다. 반면 존 네프는 PER가 가장 중요한 투자지표라고 조언한적 있습니다. 데이비드 드레먼에 의하면 저 PER 주는 어닝서프라이즈가 발생할 때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어닝쇼크가 발생하면 그다지 하락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장기적으로 저 PER 기업들의 주가상승률이 고 PER 기업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제레미 시겔 교수에 따르면 낮은 PER 종목군은 높은 PER 종목 군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해 왔습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최고의 수익률을 기록해온 기업들(소비재와 제약업)은 시장 PER보다 높은 PER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그플레이션과 골디락스 경제 / 장기침체 (0) | 2022.12.24 |
---|---|
PBR 뜻과 의미와 활용 (0) | 2022.12.23 |
경기방어주란? 경기방어주의 특징과 리스트 (0) | 2022.12.22 |
LTV, DTI, DSR 정리 (0) | 2022.12.22 |
환전상과 환차손 환차익에 대해 (0) | 2022.1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