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8

ETF 단점 위험성, 알고 투자하자 ETF 단점과 위섬성은 대표적으로 유동성 공급자의 불리한 방식 제공과 편입 종목 비중조절이 불가능하다는점, 시장 왜곡 및 추적오차, 롤오버 비용과 운용보수 등이 있습니다. ETF단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ETF 단점과 위험성 ETF 단점과 위험성 요약 1. 유동성 공급자의 만행 2. 편입 종목 비중 조절 불가 3. 시장 왜곡 4. 추적 오차 5. 롤오버 비용과 운용보수 ETF 단점 1. 유동성 공급자(LP)의 만행 ETF 단점은 유동성 공급자가 펀드의 순자산가치(NAV)와 동일한 호가가 아닌 헤지 상품 가격과의 괴리를 반영한 호가를 제시합니다. 따라서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가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한국은 일반적으로 소액주주 혹은 개인들에게 거래가 불리한 방식입니다. 괴리율이나 추적 오차.. 2023. 1. 3.
ETF(상장지수펀드) 장점 투자하는 이유 ETF의 장점은 유리한 자산 배분을 통해 효율적인 투자가 가능하고 레버리지 활용과 특정 섹터에 집중 이 가능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운용사에서 관리하기에 관리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거래비용이 낮은 점이 특징입니다. ETF의 장점 ETF의 장점 요약 1. 유리한 자산 배분 2. 레버리지 사용 가능 3. 특정 섹터 집중 가능 4. 관리 수월 5. 낮은 거래비용 ETF는 소수의 금액으로도 시장 전체 또는 특정 업종 전체에 투자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ETF는보통 50개가 넘는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어 기본적으로 분산 투자의 성격을 띱니다. 개별 회사에 악재에 터졌다 하더라도 해당 회사의 주가에 비하면 크게 요동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정말 어떤 회사가 퇴출된다면 그 회사를 대체해줄만.. 2023. 1. 2.
공유지의 비극이란? 공유지의 비극 개릿 하딘의 에세이 공유지의 비극이란 미국의 생태학자 개릿 하딘 이 1968년 사이언스지에 기고한 짤막한 에세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현재까지 논쟁의 대상이 될 만큼 이 글의 영향력이 컸습니다. 원래 하딘이 '생태학자'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본래 이 에세이는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쓰인 것으로, 본래 저자가 의도한 주제는 "개인의 죄의식 없는 행동이 환경에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경제학자들이 워낙 많이 인용하다보니, 경제학적인 관점으로 풀이하는 사례가 매우 많아졌습니다. 다만 하딘의 경우는 '개인의 이기심과 그에 따른 환경파괴'라는 구조를 '개인들의 이기심과 그에 따른 경쟁적 환경파괴'로 변경시키는 것으로써, 개인의 문제에서 '개인간의 경쟁'이라는 구조적인 문제로 이동시.. 2023. 1. 1.
금산분리란? 카카오뱅크와 금산분리, 한계점 금산분리에 관하여 1. 금산분리란? 금산분리란 금융과 산업을 분리한다는 원칙을 말합니다. 간단히 말해 제조업 또는 서비스업회사가 은행을 소유하는 것을 금지하는 은산분리 원칙과, 금융회사의 비금융회사 지배를 금지하는 원칙 2가지로 구성됩니다. 삼성전자가 삼성은행을 소유할 수 없는 것과 KB국민은행이 LG전자를 소유하지 못한다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2. 금산분리 왜 할까요? 우선 제조업 등 산업자본이 은행을 소유할 경우 기업집단의 관련 계열사가 부실해져도 계열금융회사는 부실 계열기업에 계속 자금을 지원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로 인해 계열금융회사도 함께 부실해질 뿐만 아니라, 그 연쇄작용으로 다른 금융회사는 물론 제조업, 나아가 우리나라 경제전반에 영향을 가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산업자본 계열의 .. 2022. 12. 31.
권리락이란? 유상증자 무상증자 권리락에 대해 권리락이란? 주식투자를 하다 보면 권리락과 마주치는 순간이 옵니다. 권리락이란 무엇일까요? 권리락이란 유상증자나 무상증자를 하면 그만큼 주식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공급 증가로 주식의 가치가 일시적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정확한 뜻은 주식에 있어서 기존 주주에게 부여되는 신주인수권 또는 신주의 무상교부권이 없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회사가 자본금 증자 혹은 배당을 할 때 일정 기한을 정하여 기준일까지 소유한 주주에게만 신주 인수권이나 배당받을 권리를 주는데, 기준일자 넘어간 이후의 주주에게는 신주인수권이나 배당 권리가 없어지기에 기준일을 넘은 주식을 권리락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권리락은 신주의 배정권리가 없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권리 중 배당권리가 없어진 것은 배당락이라 합니다... 2022. 12. 30.
명품이야기 (1) 에르메스(Hermès) 에르메스 명품이야기 에르메스의 역사 에르메스라는 이름은 창업자 티에리 에르메스(Tierry Hermès)의 이름에서 따왔습니다.,1837년 설립하여 말의 안장, 장신구 등 마구를 만들던 회사였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마차를 모는 사람이 대표 로고입니다. 19세기부터 퀄리티 높은 가죽 제품을 만들기로 유명한 장인 공방이었습니다. 이후 세월이 흘러 교통수단이 마차에서 자동차, 배 등으로 바뀌자 여행에 관련된 상품을 만들면서 크게 확장되었습니다. 유리, 크리스털 가공 업체 생루이(Saint-Louis), 수제화 제작업체 존롭인 존롭(John Lobb) 유한회사가 에르메스의 기성화 존롭인 존롭 부트메이커한테 상표권 도용으로 소송을 걸었습니다, 은 세공업체 퓌포카(Puiforcat)가 자회사로 있으며 가방에 최초로.. 2022. 12. 29.
공매도의 장점 단점 정리( 순기능과 역기능) 앞선 포스팅에서 공매도의 개념과 주요 사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관련 포스트트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매도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매도란? 공매도 원리와 분류 공매도란? 공매도(Short selling) - 주식을 미리 빌려서 매도하고 나중에 사 와서 상환하는 투자기업 - 주가 하락에 배팅 공매도(Short selling)란 없는 주식(또는 재화)을 미리 빌려서 매도하여 현재 가 5ri-it.tistory.com 공매도의 장점 공매도의 순기능 - 주식시장 효율성 증대 - 유동성 증가 - 가격의 연속성 1. 주식시장 효율성 증대 공매도의 장점은 우선 주식시장의 효율성이 늘어납니다. 주식의 가격은 매수세와 매도세의 균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주식을 사는 데는 아무런 .. 2022. 12. 29.
CMA, MMF, MMDA 초단기 상품 비교 CMA, MMF, MMDA는 초단기금융상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꾸준히 인기 있는 금융상품입니다. 용어가 생소하고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포스팅에서 개념을 이해하고 어떤 상품이 유리한지 알아보겠습니다. CMA CMA(Cash Management Account)란 종합금융회사나 증권사가 투자자로부터 예탁금을 받아 안정성이 높은 국공채나 양도성예금증서(CD), 단기 회사채 등의 금융상품을 운용하여 수익을 내는 금융상품을 말합니다. 자금 운용 주체와 투자 방식에 따라서 CMA 상품의 종류가 나뉩니다. 주의해야 될 사항이라면 예금자 보호를 받겠다고 무작정 금리가 낮은 CMA 상품을 선택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CMA 자체가 손실이 날 확률이 거의 없도록 신용등급은 가장 높으나 대신 수익률이.. 2022. 12.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