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정보

부동산 상황 분석 및 전망(2) : 부동산 조정기

by 호랭이박사 2022. 10. 2.
반응형

부동산 상황 분석 및 전망

꽁꽁 붙은 수요

부정적 경기전망이 수반된 가파른 금리 상승으로 가계대출 수요 억제 및 자산 시잔 부담의 악순환으로 연결되고 있습니다. 주택 거래량은 사상 최저 수준을 기록하였으며 코로나 국면 주식시장으로 유입된 개인자금 규모도 급격히 위축되고 있습니다. 이례적인 가계대출 감소세가 지속되며 작년 이후 신용대출 또한 감소하는 추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부동산 시장이 본격적인 조정국면에 진입했다는 해석입니다. 주택 가격 조정이 이어지고 있으며 장기간 가격 상승에 따른 피로감에 기인합니다. 매매 가격과 전세 가격이 동반 하락하고 있는 반면, 금리 상승 영향으로 월세 수요가 증가하면서 월세 가격은 급등하고 있습니다.

 

위축된 주택구입 심리

가격조정 폭에 비해 주택시장 심리는 급격히 위축되었습니다. 매수심리는 극도로 위축된 가운데 부정적 가격 전망이 우세합니다. 높은 가격 수준과 금리 상승으로 주택구입 여력 또한 낮아진 상황입니다. 월세 가격이 급등했음에도 불구하고 임대수익률을 상회하는 주택대출 금리가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산으로서 부동산 메리트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추가적인 금리인상은 가격 및 기간조정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불안 지속 시 부동산 거래와 가격 회복에는 장기간 시간이 소요됨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글로벌 부동산 시장 또한 조정

해외 부동산 시장 또한 가격조정과 거래 감소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글로벌 금리 상승이 주요국 부동산 시장 공통의 부동산 시장 조정압력으로 작용 중입니다. 미국 모기지 금리 6%까지 급등한 상황이며 주택 경기 둔화는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금리인상에 취약한 상업용 부동산이 가파르게 가격 조정이 나오고 있고 2022년 들어 미국 리츠 수익률은 평균 -30%에 달합니다. 일부 해외 상업용 부동산 투자건 부실이 발생하며 국내 금융권 및 기관투자자의 손실 또한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국내 상업용 부동산 역시 취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규제가 덜했던 상업용 부동산으로 수요 쏠림이 나타났으나 금리인상에 취약한 속성을 보여줬습니다. 금리인상기조가 이어지면서 가격조정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