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의 장점은 유리한 자산 배분을 통해 효율적인 투자가 가능하고 레버리지 활용과 특정 섹터에 집중 이 가능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운용사에서 관리하기에 관리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거래비용이 낮은 점이 특징입니다.
ETF의 장점
ETF의 장점 요약
1. 유리한 자산 배분
2. 레버리지 사용 가능
3. 특정 섹터 집중 가능
4. 관리 수월
5. 낮은 거래비용
ETF는 소수의 금액으로도 시장 전체 또는 특정 업종 전체에 투자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ETF는보통 50개가 넘는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어 기본적으로 분산 투자의 성격을 띱니다. 개별 회사에 악재에 터졌다 하더라도 해당 회사의 주가에 비하면 크게 요동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정말 어떤 회사가 퇴출된다면 그 회사를 대체해줄만한 새로운 종목을 찾아 그 빈자리에 투자를 합니다
1. 유리한 자산 배분
자산배분 관점에서 ETF에는 주식뿐만 다양한 상품이 있어 다양한 분야에 간접 투자할 수 있습니다. 금, 원유, 곡물, 천연가스 등 원자재에 대한 ETF도 있으며 채권 ETF도 있습니다. 또한 해외 주식 ETF도 있고, 고배당주 ETF도 있습니다. 예컨데 'TIGER 나스닥100 ETF'의 경우 미국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일반 개미의 경우 주식만이라면 공매도를 하는게 아닌 이상 상승 방향에만 투자할 수 있으나, ETF를 이용하면 증시, 주식,원자재 등 가격 하락 방향에 투자하고 싶을 때 손쉽게 인버스 투자가 가능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2. 레버리지 사용 가능
레버리지 투자를 하려면 보통 선물거래를 해야하는데 접근성도 주식보다는 떨어지고, 일반적인 개인 투자자가 하기에 상당한 위험성이 따르며 교육이수도 해야 하는등 거래자체가 진입장벽이 높습니다. 반면 ETF 이용하면 선물보다는 접근성이 용이하게 레버리지 상품을 이용해 투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KODEX레버리지 또는 TQQQ로 2배~3배에 배팅가능한 상품이 있고, SQQQ는 하락장에서 수익이 나는 인버스에 3배로 수익률을 늘린 상품입니다. 물론 선물옵션보다야 거래하기가 쉬울 뿐이지 리스크는 여전히 높은 수준입니다.
3. 특정 섹터 집중 가능
ETF를 이용하여 특정한 테마에 투자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반도체, IT, 게임, 자동차, 은행, 보험, 증권, 철강, 부동산리츠(REITs) 분야 등 특정 업종은 물론, 삼성 계열사, 포스코그룹 계열사 등 특정 기업 집단을 대상으로 투자할 수 있는 ETF 상품들도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섹터에만 집중되어 있는 ETF를 통해, 시황에 맞는 다양한 전략 구사가 가능합니다.
4. 관리 수월
ETF 운용사가 상품 테마에 맞게 종목의 편입, 편출을 알아서 관리해줍니다. 예컨대, 2차 전지 산업에 유망한 회사가 새로 생겼거나 기존에 편입됐던 모회사에서 2차 전지 사업부가 분할돼 떨어져 나가 모회사의 주식이 필요없어지면 ETF 운용사가 알아서 ETF 구성 종목에 편입하거나 퇴출합니다. 2차 전지 산업에 집중 투자하는 투자자라면 이러한 관리에 시간 낭비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5. 낮은 거래비용
일반적인 국내 주식과 달리 증권거래세가 없습니다. ETF 운용사들이 주식을 매매할 때 증권거래세를 내는데, ETF에도 증권거래세가 부과된다면 이중 과세가 되므로 증권거래세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다만 국내 주식위주의 ETF인 경우이고, 해외주식위주의 ETF는 매매수익에 비례해서 배당소득세를 징수합니다. 즉, 수익이 났을 때만 세금을 부과하고 손해보고 매도했을 때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습니다. 매매 수수료 역시 매우 낮은 수준이며, 운용 보수 역시 펀드에 비해서 낮은 편입니다.
이상 ETF의 장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단점 위험성, 알고 투자하자 (0) | 2023.01.03 |
---|---|
공유지의 비극이란? (0) | 2023.01.01 |
금산분리란? 카카오뱅크와 금산분리, 한계점 (0) | 2022.12.31 |
권리락이란? 유상증자 무상증자 권리락에 대해 (0) | 2022.12.30 |
명품이야기 (1) 에르메스(Hermès) (0) | 2022.12.29 |
댓글